애플 페이 국내 서비스 출시 - 드디어 11월 30일 시작
- 금융/주식
- 2022. 10. 7.
애플 페이가 국내에 도입된다고 여러 번의 이슈를 이끌었지만 숲으로 돌아가는 일이 계속 반복이었으나, 올해도 동일하게 애플 페이가 현대카드와 협의를 하고 있다는 소식이 돌았었죠. 전날인 10월 6일에 드디어 현대카드에서 11월 30일에 애플 페이를 국내 서비스에 출시한다고 합니다.
현대카드 애플 페이 국내 서비스 이용약관 유출
현재 현대카드 약관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애플 페이에 대한 이용약관은 존재하지 않지만, 유출된 이용약관에 따르면 현대카드의 이용약관을 제1조에 표기하고 있으며 "제2 조에 애플 페이 결제 서비스"에 대한 항목을 담고 있습니다.
현대카드 애플 페이 국내 서비스 Wallet(월렛) 서비스 - 2022년 11월 30일 시행
아래 부칙에 의하면 '본 약관은 2022년 11월 30일부터 시행합니다.'라는 문구와 애플 월렛 및 현대카드 앱을 설치하고 대상 카드를 등록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고객을 "가입 고객"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애플 페이는 NFC 기능 - 삼성 페이, LG 페이와는 다른 기능
삼성 페이와 LG페이가 NFC 기능을 켜야 결제가 된다고 해서 NFC로 잘못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은데 MST 방식으로 마그네틱 보안 전송 방식으로 다른 기능입니다.
애플 페이의 경우는 NFC 기능이기 때문에 결제 단말기가 꼭 NFC 결제 단말기여야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단말기로는 결제가 이뤄지지 않습니다. 즉, 삼성 페이처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범위는 다르다는 것이죠.
이에 대한 내용은 이전에 다뤘던 내용이 있기 때문에 대체하겠습니다.
아이폰 애플페이 12월 달에 마트 편의점 상용화 (삼성페이와 차이점)
아이폰을 사용하던 유저가 갤럭시로 넘어오는 이유 중 하나가 삼성 페이를 사용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국내에서는 애플 페이가 사용이 불가능했었지만, 이번 해 말인 12월 달 즈음에 국내에 도
goaway404.tistory.com
NFC와 RFID의 차이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 주파수(RF)를 이용하여 물건이나 사람 등과 같은 대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
* RF 칩이 내장된 물체와 리더기의 주파수가 일치하면 정보가 전달되는 것. 또한, 100m 이상의 거리에서도 식별이 가능함.
예시) 하이패스 : 하이패스 단말기에 꼽혀 있는 하이패스 카드가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바로바로 인식하는 것 또한 RFID 기술입니다.
RFID의 단점은 단방향 통신으로 내장된 정보를 전송하기만 하고 리더기는 칩에서 보낸 정보를 읽고 판단하는 것만 하게 됩니다.
NFC 기능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Near Field Communication의 약자로 RFID의 기술을 보안하기 위해 만들어진 양방향 통신기술입니다.
*특정 주파수인 13.56 M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데, 이 기능을 가진 장치들이 충분히 가까워진다면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게 됨
국내에서의 애플 페이 사용과 삼성 페이
국내에서 애플 페이가 도입되면 삼성 페이는 어떡하냐.. 이런 입장이겠지만, 아직까지 국내에는 NFC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애플 페이가 당장 도입되더라도 삼성 페이 유저들은 계속해서 삼성 페이를 이용할 것입니다.
현재 삼성 갤럭시 S20 시리즈 이상부터는 해외에서는 MST 코일이 제거되어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국내에 NFC 단말기가 확산이 된다면 동일하게 NFC 기능을 통해 결제가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